본문 바로가기

스탠드형 김치냉장고 김치 숙성이 되지 않습니다

  • 날짜 2025-02-05
  • 조회수 784

 숙성 시간 설명 

 숙성은 모델별로 약 7~15 ℃ 사이의 온도로 진행되며, 모델에 따라 약 4일에서 6일 정도의 숙성 시간을 가지게 되며 표시창에 숙성 종료일까지의 남은 시간(일)이 표시되게 됩니다.

중간에 다른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숙성은 즉시 종료되므로 자동으로 종료되도록 기능을 유지해주셔야 합니다.

자동으로 숙성이 종료되면 김치 저장 중 온도로 설정되므로 별도의 조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숙성 기능 자동 종료는 제품의 숙성 운전 기능의 종료이므로 자동 종료 직후 보다는 3~4일 이후 서서히 김치의 숙성된 맛이 나게 됩니다.


심플디스플레이(상칸 내부 우측 옆면)

1. 오른쪽 방향 화살표를 눌러 원하는 칸(상칸/중칸/하칸)을 산택하세요. 변경하고 싶은 칸이 뜨면  OK 버튼을 눌러주세요.

2. 오른쪽 방향 화살표를 눌러 원하는 모드(강냉,  표준, 약냉, 저염 김치 등)를 찾아주세요.

3. 설정할 모드가 뜨면 OK를 눌러 저장하세요.

 첫 화면에서 ">" 버튼을 눌러   변경할 칸(상칸/중칸/하칸)을 지정

①  첫 화면에서 ">" 버튼을 눌러

 변경할 칸(상칸/중칸/하칸)을 지정

변경할 칸(상칸/중칸/하칸)이 뜨면    OK 선택

②  변경할 칸(상칸/중칸/하칸)이 뜨면

  OK 선택

 "> " 버튼을 눌러   설정할 모드가 뜰 때까지 터치

 ③ "> " 버튼을 눌러

 설정할 모드가 뜰 때까지 터치

설정을 원하는 모드가 뜨면   OK를 눌러 저장

④  설정을 원하는 모드가 뜨면 

OK를 눌러 저장 


상칸 도어에 온도 표시부가  있는 타입 1

냉장실 온도 조절 방법(스탠드형 기준

기능

화면

변경방법

기능선택

화면이미지

 ① [잠금/풀림] 3초 이상 길게 눌러 풀림으로 설정 


② [김치선택] 버튼을 눌러 원하는 김치모드를 선택  '일반/저염'모드가 순환선택 될 때마다 저장칸의 기능은 '김치저장-표준'으로 설정


※ 저염 모드는 일반모드보다 온도가 높으므로 저염 김치를 저장할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김치저장

화면이미지

① [잠금/풀림] 3초 이상 길게 눌러 풀림으로 설정


② 저장을 원하는 칸의 기능 변경 : 김치저장-표준 → 강냉 → 약냉 → 아삭김치 → 냉동 → 냉장 → 꺼짐 순 반복

※ 스탠드형 기준, 뚜껑식 버튼명 및 기능명 다름 (설명서 참조)

아삭김치

구입김치

화면이미지

① [잠금/풀림] 3초 이상 길게 눌러 풀림으로 설정

② 상실: 김치저장-표준 → 강냉 → 약냉 → 아삭김치 → 냉동 → 냉장 → 꺼짐 순 반복

중실: 김치저장-표준 → 강냉 → 약냉 → 아삭김치 → 구입김치 → 야채 → 육류 → 꺼짐 순 반복

하실: 김치저장-표준 → 강냉 → 약냉 → 아삭김치 → 야채 → 쌀/와인 → 꺼짐 순 반복

※ 구입 김치는 중칸에만 적용 됨
※ 육류 선택시 김치선택모드(일반,저염)는 꺼짐


상칸 도어에 온도 표시부가  있는 타입 2

김치 숙성 방법(스탠드형 기준)

기 능

Display

변경 방법

숙성

상칸의 숙성 표시부 이미지

중칸의 숙성 표시부 이미지

잠금 풀림 아이콘 3초 이상 길게 눌러 풀림으로 설정


② 숙성을 원하는 칸의 숙성버튼을 눌러 기능을 선택 상실의 경우,숙성버튼을 누르면 '배추김치'가 선택됩니다.

   중실의 경우, 배추김치→열무→깍두기→갓→묵은지→육류


③ 숙성 자동 종료 시 김치(중)으로 자동 저장됩니다.

※ 스탠드형 기준, 모델별 사용설명서 참조 



 숙성 후 김치 상태 설명 

숙성 기능 자동 종료는 숙성 운전 기능의 종료이므로 실제 김치의 맛은 자동 종료 직후 보다는 3~4일 이상 경과되면서 서서히 숙성된 맛이 우러나게 됩니다.

위의 내용으로 궁금증 해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나요?
  • 평가해 주신 의견은 콘텐츠 개선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됩니다.
원하시는 정보를 못 찾으셨다면 아래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 무상 보증기간 이내라도 사용법 설명/설치등 제품의 고장이 아닌 경우 서비스를 요청하시면 별도의 요금이 부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