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냉난방기, 역겨운 냄새/악취가 납니다.

  • 날짜 2015-10-19
  • 조회수 950

 ■  이런 원인 일 수 있어요

    - 먼지, 음식 냄새 등이 필터에 쌓여 냄새의 원인이 됩니다.

   - 배수 호스를 타고 외부 냄새가 올라 올 수 있습니다.

   - 에어컨 내부에 습기가 남아 곰팡이나 세균이 자라면 곰팡이 냄새, 쾨쾨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 이렇게 해결해 볼수 있어요 

 1. 먼지거름필터 청소해 보기

   먼지거름필터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냄새가 발생 할수 있습니다. 에어컨 사용 중에는 2주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 보세요

    먼지거름필터 청소 방법 알아보기


2. 배수 호스 확인해 보기

  - 에어컨이 가동되면 배수 호스를 타고 냄새가 유입될 수 있습니다. 배수 호스가 하수구(또는 화장실)에 바로 연결되어 있다면 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외부로 나가 있는 배수 호스 주변에 휴지통, 걸레통 등의 냄새를 유발할 만한 것이 있는 경우에도 실내기로 냄새가 유입될 수 있습니다.

    냄새가 유입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면 배수 호스 위치를 변경하거나 냄새 유발 물질을 정리해 주는게 좋습니다.


 3. 에어컨 내부 환기 시켜 보기

  - 에어컨을 사용하면 온도 차이 때문에 생긴 물기가 내부에 남습니다. 이때 냄새를 일으키는 성분이 물기에 붙어 있다가, 다음에 에어컨을 켤 때 건조되면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또, 열교환기(에어컨 내부의 냉각 부품)에 냄새 성분이 달라붙는 경우도 있습니다.

    창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제습 모드(또는 냉방모드)로 1 시간 가동 후 송풍 모드(또는 공기청정모드)로 1 시간 이상 가동하면 실내기에 남아 있는 오염물질이 줄어들어 냄새를 줄일 수 있습니다.


 4. 에어컨 세척 알아보기

   - 에어컨 내부 환기 후에도 냄새가 발생 된다면 세척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

     세척은 전문 세척 엔지니어가 전문 세척 장비를 이용하여 제품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는 전문 세척과

     서비스 엔지니어가 '친환경 세척용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내부 오염물질이 있는 곳에 뿌려 주는 것으로 제품을 점검하고 조치하는 일반세척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에어컨 세척 자세히 알아보기

위의 내용으로 궁금증 해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나요?
  • 평가해 주신 의견은 콘텐츠 개선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됩니다.
원하시는 정보를 못 찾으셨다면 아래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 무상 보증기간 이내라도 사용법 설명/설치등 제품의 고장이 아닌 경우 서비스를 요청하시면 별도의 요금이 부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