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난방기 사용 안내 Q&A
- 날짜 2013-11-25
- 조회수 7,083

냉난방 겸용 에어컨 이란?
더울 때는 찬바람, 추울 때는 더운 바람을 내는 것이 냉난방 겸용 에어컨 입니다.
- 냉방운전 : 실내측은 찬바람, 실외측은 더운 바람이 나옵니다.
- 난방운전 : 실내측은 더운 바람, 실외측은 찬바람이 나옵니다.

난방운전을 시작한 직후에는 흡입된 실내의 찬 공기가 충분히 데워지지 않고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시 바람을 내보내지 않습니다.
실내기 열교환기의 온도가 27 ℃ 정도 되면 바람이 나오게 됩니다.
예) 겨울철 자동차를 타자마자 히터를 가동하면 찬바람이 나오고 일정시간 엔진이 예열되고 나서 따뜻한 바람이 나옵니다.
이와 같이 본 난방기도 가동하자마자 찬바람이 나오면 춥게 느껴지므로 일정시간 가동 후에 따뜻한 바람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흡입 공기온도보다 약 20 ℃ 정도 상승된 공기가 나옵니다.
난방운전시 실내온도 도달 시간
- [당사 주택환경 시험 조건]
- - 바닥면적 122.3 ㎡
- - 냉방기준 13 kW 모델
- - 실외 온도 7 ℃
위 시험조건에서 실내온도를 9 ℃ 에서 20 ℃ 까지 상승시키는 것으로 약 18~20분 정도 소요됩니다.
단, 제품 용량이나 설치환경(건축물 단열 부실, 잦은 출입문 여닫음, 창문 틈새 부실, 빈번한 환풍기 사용 등)에 따라 희망온도 도달 시간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버터 난방기는 실내 공기를 난방기로 통과시켜서 점진적으로 따뜻한 바람을 만들어 내는 방식입니다.
실내 공기를 데워 상승시키는 열량보다 실외로 빠져 나가는 열량이 많을 경우 실내 온도가 잘 올라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외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은 날씨에 난방운전을 할 경우 실외기에 성에가 생기면서 난방성능이 저하됩니다.
이때 성에를 자동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제상운전”이라고 합니다.
제상운전 중에는 실내기에서 찬바람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기의 Fan을 정지 시킵니다.
※ 실외기에 맺히는 성에의 양에 따라 제상 주기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이미지 | ![]() | ![]() |
---|---|---|
설명 | 실외기 주변이 눈이나 사물 등으로 가려져 있을 경우 제거하세요.
| 2주에 한 번씩 먼지거름필터를 청소하세요.
|
이미지 | ![]() | ![]() | ![]() |
---|---|---|---|
설명 | 실내기 상하 바람조절판 각도를 최대한 아래방향으로 조절하세요. - 따뜻한 공기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향하기 때문에 바람조절판을 아래로 향하게 하시 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사용장소의 단열상태를 확인하세요. - 창문이 열려 있거나 외풍이 심한 곳에서는 열 손실이 발생하여 난방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창틀, 문틈 사이에 문풍지를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 출입이 잦은 곳에서는 출입구에 에어커튼을 설치하거나 설치장소를 변경하여 열손실을 줄여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