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노트북에서 제공한 FailSafe(페일 세이프) 삭제 방법을 알려주세요.
- 날짜 2013-07-18
- 조회수 14,931
아래와 같이 FailSafe 설치 전과 설치한 후로 나뉘어 제공된 첨부파일 Cleanup Tool을 이용하여 FailSafe를 삭제해주시기 바랍니다.
※ 대상 모델 : FailSafe 적용 전 모델( 바탕화면에 FailSafe Setup 아이콘 기본 제공 모델)
- ① 국내 판매용 : NT-N140, NT-X170, NT-X420, NT-R580, NT-R530, NT-R480, NT-R430 등
- ② 해외 판매용 : NP-N140, NP-N130, NP-X170, NP-X420, NP-X520, NP-R580, NP-R530, NP-R480, NP-R430 등
! 참고 : 파일 실행시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하며 Dos Command 창이 실행되어 열린 Dos창이 자동으로 닫힐 때까지 기다려 주셔야 합니다.
FailSafe 설치 전 설치하라는 메시지 계속 보임 : FSTrialCleanup.zip(FailSafe 체험판 삭제 툴)
- ※ 프로그램 추가/제거에 FailSafe 제거 항목 없으므로 삭제툴 사용해야 합니다.
- 1. 첨부된 파일을 바탕화면/혹은 원하는 디렉토리에 저장 후 압축파일을 압축 해제합니다.
- 2. 압축 해제된 파일의 확장자인 [FSTrialCleanup.ex_]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눌러 이름바꾸기로 [FSTrialCleanup.exe]로 변경후 예를 클릭합니다.
- 3. [FSTrialCleanup.exe]파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눌러 실행하시면 FailSafe 설치 파일이 삭제되었습니다.
- ※ ! 주의 : 삼성복원 솔루션의 전체 복원하시면 FailSafe Setup파일 다시 생성되므로 설치 메시지를 안뜨게 하려면 꼭 다시 위 방법을 실행하셔야 합니다.
이미 FailSafe가 설치된 경우 : FScleanup2.zip(설치된 FailSafe 삭제 툴)
※ 안내해드린 강제 삭제파일 실행 후 FailSafe 다시 사용이 불가합니다.
- 1. 첨부된 파일을 바탕화면/혹은 원하는 디렉토리에 저장 후 압축파일을 압축 해제합니다.
- 2. [FScleanup2]폴더 - [FScleanup]폴더를 열어서 [FScleanup.bat]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눌러 실행합니다.
- 3. 반드시 시스템 재시작을 합니다.
※ 삼성노트북에서 제공했던 Phoenix FailSafe(페일 세이프)란?
- PC 분실 / 도난시 IP를 추적 가능하게 함
- 원격으로 PC를 제어
. 파일 회수/제거, PC 잠금
. 부팅시 사진 촬영
- FailSafe BIOS가 Client와 연동되어 동작하게 되어 있음
[FailSafe(페일 세이프) 현재 사용 불가 안내]
Phoenix와 삼성과의 FailSafe 서비스 2010년 4월 7일이후 종료됨에 따라서 현재는 사용기간 만료로 표시되거나 사용 불가합니다. 이에 윈도우를 부팅하거나 PC 사용 중 FailSafe 실행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의 방법으로 FailSafe를 삭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방법으로 조치가 되지 않을 경우 전문 상담사에게 자세한 내용을 확인 후 상담으로 안내받아 보시기를 권유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