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라커(Bitlocker) 복구 키 확인하는 방법
- 날짜 2021-02-03
- 조회수 93,005
장치 암호화(bitlocker)는 드라이브 암호화 기능으로 기기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한 경우, 파일과 폴더에 대한 접근을 막을 수 있습니다.
- 드라이브에 자물쇠 모양이 표시되는 경우 장치 암호화를 사용하고 있는 중입니다.
- 장치 암호화가 켜져 있으면 외장 저장 장치로 시스템 이미지 백업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USB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부팅 시 bitlocker 복구키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MS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BitLocker 복구키 확인 방법
1) 스마트 폰이나 주변의 다른PC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비트라커(BitLocker) 복구키 사이트(클릭)에 접속하세요.
2) Microsoft 계정(이메일 형식)을 입력하세요.
![]()
3) Microsoft 계정의 암호를 입력하세요.
![]()
4) 다른 장치에서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한 경우 본인 확인을 위해 아래의 화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입시 입력한 휴대폰이나, 이메일로 본인 확인을 진행하세요.
- 휴대폰 선택한 경우 → 가입 시 입력한 연락처 마지막 번호 4자리 입력
- 이메일 선택한 경우 → 가입 시 입력한 본인 확인용 이메일 주소 입력
![]()
5) 여기에서는 휴대폰을 선택한 경우를 예로 진행하겠습니다. 휴대폰 번호 마지막 4자리를 입력 후, [코드 전송]을 선택하세요.
![]()
6) 휴대폰으로 국제 발신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며, 전송된 7자리 숫자를 아래처럼 입력한 후 [확인]을 선택하세요.
![]()
7) 아래 처럼 48자리의 숫자로된 복구 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장치 이름과 드라이브를 확인하여 정확한 복구키를 입력하도록 주의하세요.
(OSV : Operating system volumes, FDV : Fixed data volumes)
![]()
참고로 장치 암호화(BitLocker) 활성화 조건과 장치 암호화 끄기(해제) 방법도 확인해보세요.
장치 암호화 활성화 조건(Win 10, 11 기준)
아래의 4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될 경우 장치 암호화는 활성화 됩니다.
① Modern Standby 적용 제품(NT930SBE, NT950SBE 등)
② MicroSoft 계정 사용
③ TPM Enabled(BIOS의 TPM 기능이 있고 On 상태)
④ UEFI Secure Boot Enabled(BIOS의 Secure Boot 기능 On 상태)
Win 11 장치 암호화 끄기(해제) 방법
아래의 방법으로 장치 암호화 (bitlocker)를 해제해 보세요.
1) 키보드에서 Windows 로고 키 + i 키를 누른 후 Windows 설정 창에서 개인정보 및 보안 클릭 후 장치 암호화 클릭하세요.
(※ 윈도우 10의 경우 업데이트 및 보안 클릭 → 장치 암호화 클릭)
![]()
2) 장치 암호화 항목을 켬 에서 끔 으로 변경하세요.
![]()
3) ‘장치 암호화를 끄시겠습니까?’창에서[끄기] 선택하세요.
![]()
4) 장치 암호화 해독이 진행되면 해제 완료 (데이터가 많을 경우 해독 과정에 시간 소요) 됩니다.
![]()